PL의 우승 향방을 가르는 대결, 결승전이라고 불리우는 두 팀간의 대결은 결국 2대2로 끝이났다. 리그 7R 첫 맞대결도 2대2로 비겼는데 이번 맞대결도 2대2다. 첫 맞대결만큼이나 꿀잼 경기였고 양 팀의 클라스를 확인 할 수 있었다. 리그 1,2위에 걸맞는 경기력이었고 정말 재밌는 경기를 펼친 양 팀이다.
시티는 제주스, 스털링, 포든이 3톱으로 출전했고 디아스가 부상에서 복귀하지 못해 스톤스, 라포르테가 센터백 라인을 구성했다. 리버풀은 최근 좋은 폼을 보여줬던 디아스 대신 마네, 조타, 살라가 3톱으로 출전했다. 중원에는 티파헨 조합을 가동했다.
그야말로 용호상박이었다. 전체적인 경기 내용은 시티의 주도하에 있었다. 시티의 라인업을 보면 4-3-3이지만 사실상 4-2-3-1에 가까웠다. 실바가 낮은 위치까지 내려와 로드리와 3선을 구성했다. 펩은 빌드업에 약간 변화를 주었다. 실바가 3선에 내려오자 워커를 후방에 남기는것이 아닌 전진시키는 모습을 보였다.
2명의 센터백 앞에 2명의 미드필더를 배치한 2-2 형태를 기본 베이스로 잡고 칸셀루, 워커가 빌드업에 가담하는 모습을 보였다. 때로는 로드리가 센터백 사이로 들어와 라볼피아나 형태를 만들어 3-1 전형을 만들거나 실바가 센터백 사이로 내려오면 로드리가 전진하는 등 유연한 빌드업 체계를 가져간 시티다.
실바를 빌드업에 가담시키면서 워커를 전진시켰는데 이는 2가지 이유가 있었다. 측면 뒷 공간 공략과 제주스 때문이다. 이날 시티의 빌드업을 보면 평소보다 롱 볼을 자주 시도해 리버풀의 뒷 공간을 공략했다. 측면, 중앙을 가리지 않고 빠른 스피드를 활용했다. 때문에 워커가 우측 뒷 공간으로 침투하는 장면이 많았고 후방에서 빌드업을 전개하다 워커를 향한 롱 볼을 시도했던 시티다.
워커가 전진하는데 도움을 주었던건 제주스다. 제주스가 측면보단 하프 스페이스, 중앙을 공략했고 제주스를 막기 위해 로버트슨이 중앙으로 좁히면 워커가 측면을 활용했다. 펩은 공격진 구성에 있어서도 리버풀의 뒷 공간을 공략하겠다는 의지가 보였다.
시티의 공격진을 보면 포든, 스털링, 제주스로 누가 어느 위치에 있어도 이상하지 않은 라인업이다. 펩은 3명의 공격진들을 모두 정발로 배치해 빠른 스피드를 활용해 템포 빠른 공격을 전개했다. 역발로 배치했을 때는 이게 불가능하다. 선수가 정발로 차기 위해서 한번은 접어야 하기 때문에 공격의 템포가 느려지고 리버풀의 수비 복귀 시간을 벌어주게 된다.
하지만 세 선수를 모두 정발로 배치함으로써 뒷 공간으로 침투했을 때 빠른 템포의 공격 전개, 공을 빠르게 처리할 수 있게 배치했다. 이는 적중했다. 리버풀은 뒷 공간의 대한 부담이 항상 있었지만 이날 만큼 공략당한 적은 많이 없었다. 그만큼 시티 공격진들이 리버풀의 뒷 공간을 잘 활용했고 위협적인 공격을 보였다.
두 감독의 전술 변화도 인상적이었다. 펩은 클롭 감독의 교체에 전술 변화를 가져갔다. 클롭은 후반 70분에 디아스를 투입했는데 기동력이 빠르고 직선적인 침투를 자주 가져가는 디아스를 막기 위해 워커를 평소 역할로 바꿨다. 워커가 후방에 남아 3-2 빌드업 전형을 만들어주고 공격 가담 횟수를 줄였다.
워커의 후방 대기로 후반 75분에는 마레즈를 투입해 우측 공격에 변화를 주었다. 마레즈는 홀로 측면 공격을 이끌어 갈 수 있다. 디아스의 대한 견제, 마레즈 투입으로 측면 공격 변화를 가져갔다.
반면 리버풀은 맨시티에 고전했다. 시티의 전방 압박에 어려움을 겪었다. 후방에서 지속적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으며 수비적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특히 뒷 공간에 대한 대처가 전혀 되지 않았다. 리버풀의 수비 장점 중 하나는 라인 컨트롤을 통한 오프사이드 트랩이다. 하지만 이날만은 장점이 아닌 단점으로 다가왔다.
이는 압박과도 연관이 있다. 리버풀은 라인은 높게 형성했지만 전방에서 압박을 강하게 가져가진 않았다. 때문에 맨시티가 후방에서 빌드업을 유려하게 풀어나올 수 있었다. 후방에서 편하게 빌드업을 전개하다 보니 롱 볼의 대한 정확도가 높았고 포든, 스털링, 제주스를 활용한 맨시티의 공격에 리버풀은 수비적으로 불안한 모습을 보였다.
전반전 좋지 못한 경기력을 보이자 클롭은 후반전에 변화를 가져갔다. 우선 티아고의 위치 변화로 후방 빌드업에 변화를 주었다. 티아고가 전반전에 비해 낮은 위치로 더 내려와 센터백과 같은 라인에 위치했다. 3-1의 빌드업 체계를 만들어 후방 빌드업을 강화하고 롱 볼도 적절히 섞어 유연한 빌드업 체계를 만들었다.
또한 전반에 워낙 높은 에너지 레벨로 압박을 가했던 맨시티이기에 후반전에는 압박의 강도가 떨어질 수밖에 없었다. 맨시티의 압박 강도가 조금 떨어진것과 빌드업 변화로 후방에서의 안정감이 생겼고 후반전 경기를 주도해나가기 시작한 리버풀이다.
클롭은 한가지 더 변화를 주었다. 압박에 대한 변화인데 조금 특이점이 있다. 리버풀의 압박을 보면 중앙 미드필더인 티아고, 헨더슨이 높은 위치까지 전진하고 때로는 파비뉴도 전진해 압박을 가했다. 리버풀의 압박은 센터백을 압박하기보다 높은 위치에서 중원에 압박을 가해 맨시티가 중원에서 볼을 쉽게 풀어나오지 못하게 방해했다.
여기서 리버풀의 특이점은 마네와 살라의 위치다. 3명의 미드필더는 전진해 압박을 가하지만 살라, 마네는 압박을 가하는것이 아닌 뒤로 물러 낮은 위치에 있었다. 이는 살라, 마네로 하여금 측면 수비를 강화한 것이다. 3명의 미드필더는 중원에 압박을 가해 중앙에서 볼을 쉽게 풀어나올 수 없게 방해하고 살라, 마네는 측면 수비에 힘을 더해줬다. 클롭의 변칙 전술로 리버풀은 전반전에 비해 안정화된 수비를 보였고 시티의 측면 공격도 잘 막아내며 후반전에는 한 골도 실점하지 않았다.
이날 경기에서 MOM은 펩과 클롭이다. 두 감독은 정말 수준 높은 경기를 보여줬고 감탄만 나왔다. 중간 전술 변화도 인상적이었고 제 3자 팬 입장으로서 눈이 즐거운 경기였다. 왜 맨시티와 리버풀이 EPL판 엘클라시코인지, 왜 두 감독의 대결을 펩클라시코라고 부르는지 알 수 있는 경기였다.
경기가 끝난 후 펩과 클롭이 하이파이브하는 장면은 정말 멋있었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 서로를 리스펙한 두 감독이다. 펩은 클롭을 존경하고 자신을 더 발전시키게 만드는 감독이라고 언급했고 클롭은 경기 전 인터뷰에서 펩은 세계 최고의 감독이라는 말을 하면서 서로간의 존중도 보였다.
이날 무승부로 양 팀의 승점 차는 1점으로 유지가 되었다. 리버풀의 일정이 시티보다 불리한것은 사실이나 워낙 두 팀의 기세가 좋고 경기력이 좋기 때문에 우승의 향방은 끝까지 알 수 없게 되었다. 시티가 승점 1점차로 우승했던 18~19시즌을 연상케하는 치열한 우승레이스다.
[전술 분석] 맨유까지 잡았다, 아스날 4위 복귀 (0) | 2022.04.24 |
---|---|
[전술 분석] 챔스 경쟁 안끝났다, 희망 살린 아스날 (0) | 2022.04.21 |
[전술 분석] 치열한 우승 경쟁, 맨시티 추격하는 리버풀 (0) | 2022.04.03 |
[전술 분석] 조 1위 실패, UAE전 벤투호 문제점 (0) | 2022.03.30 |
[전술 분석] 챔스가 보인다, 아스날 PL 2000골 달성 (0) | 2022.03.20 |
댓글 영역